영유아 예방접종 시기, BCG 접종시기, A형 간염 예방접종, B형 간염 예방접종, DTaP 백신, 폴리오접종, MMR 예방접종, 수두 예방접종, 폐구균 예방접종, 영유아 예방접종 무료

 


영·유아의 예방접종은 종류와 접종 시기가 다양해 꼼꼼히 챙기지 않으면 일정을 놓치기 쉬우며, 필수 예방접종의 경우 국가에서 전액 지원되어 무료 예방접종이 가능하므로 시기를 놓치지 않고 받아야 합니다.

 

* 영·유아 시기에 필요한 예방접종 10종류

1. BCG
생후 4주 이내에 반드시 접종해야 하며, 결핵을 예방하며 BCG를 접종하고 4~8주가 지나면 접종 부위가 곪는 경우가 많지만 딱지가 앉으면서 아물게 됩니다.

 

2. A형 간염
생후 12개월 이후 한 번 접종하고 첫 접종 후 6~12개월 사이 추가 접종합니다.

 

3. B형 간염
아기 출생과 동시에 1차 접종을 하며, 태어나자마자 한번 접종한 후에는 1, 6개월에 각각 접종합니다.

 

4. DTaP
세가지 백신을 섞어 하나의 주사로 접종하며 D는 디프테리아, T는 파상풍, P는 백일해를 말합니다. 보통 2, 4, 6개월 세 번에 나눠 접종하고 18개월에 한 번, 만4~6세 때 추가 접종합니다.

 

5. 폴리오
소아마비 백신을 의미하며 생후 2, 4, 6개월에 접종합니다. DTaP와 함께 맞고 만 4~6세에 추가 접종합니다.

 

6. MMR
홍역과 볼거리, 풍진을 예방하는 접종으로 생후 12~15개월에 1차 접종하고 만4~6세에 추가 접종합니다.

 

7. 수두
생후 12~15개월에 한 번 접종합니다. 수두 접종을 했다고 수두에 걸리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가볍게 앓고 지나갑니다.

 

7. 일본뇌염
생백신과 사백신 중 선택해 접종합니다. 생백신은 약한 병을 일으키는 방법으로 면역을 얻는 반면, 사백신은 우리 몸에 균이 들어 왔다는 착각을 하게 만들어 균에 대한 면역을 만듭니다. 사백신은 1~2주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12개월 후 1회 접종, 만6세와 12세때 각각 1회씩 추가 접종해 총 5회에 걸쳐 접종합니다. 생백신은 처음 접종하고 12개월 후와 만 6세에 각각 추가 접종해 총 3회에 걸쳐 접종합니다.

 

9. Hib
뇌수막염 예방접종이라 부르며 생후 2, 4, 6개월에 한 번씩 접종하고 4차는 생후 12개월 이후 접종합니다.

 

10. 폐구균
세균성 폐렴과 중이염, 부비동염을 일으키는 폐규균을 예방하는 접종으로 생후 2, 4, 6개월에 한 번씩 3회 접종하고 생후 12~15개월 중 추가 접종한합니다.

 

 

소아 A형 간염 예방접종 전면 무료 

 

 

*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전면무료 시행 - http://www.immunizationfree.kr/

 

* 예방접종 시 주의해야 할 3가지
1. 시기는 꼼꼼히, 횟수에 차이가 있는 예방접종이 많습니다. 날짜별로 기록된 아기수첩을 숙지해 접종 시기를 놓치지 않으며, 접종 횟수와 시기를 잘 지키지 못할 경우, 효력이 상실될 수 있기에 주의합니다.

 

2. 접종은 오전에, 예방접종 후 아기의 이상반응을 살피려면 오전에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전에 접종하고 30분정도 병원에 머무르며 반응을 살피고 만약 이상이 있을 경우 바로 전문의의 진료를 받습니다.

 

3. 접종 받은 날은 목욕 금지, 접종 후에는 목욕을 시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접종 후 남아있는 상처에 균이 들어갈 수 있기에 하루 정도는 목욕을 삼가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