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후보등록 마감시한이 8시간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김무성 대표의 '무공천 옥새투쟁'으로 최고조에 다다른 새누리당의 공천갈등이 어떤 결말을 맺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결과에 따라서 무공천 지역구는 물론 전체 선거판세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며, 공천권을 놓고 반으로 쪼개진 새누리당내 '친박vs비박계' 역학구도에도 상당한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3월 25일 서울 은평을, 대구 동구을 등 공천 보류 지역 5곳에 대해서 무공천을 선언하고 부산으로 떠난 김무성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로 상경, 여의도 당사에서 당무를 보고 있습니다.
김무성 대표는 상경길에서 기자들과 만나 무공천 결정을 번복한 계획이 없음을 재차 강조했고, "오래 전부터 당헌당규에 위배되는 것은 할 수 없다고 분명히 밝혀왔다. 오랜 고심 끝에 내린 결정이기 때문에 마음의 변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김무성 무공천 지역구 5곳
이에 대해서 친박계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데, 친박계 최고위원들은 김무성 대표가 긴급 최고위원회를 소집할 것을 요구하면서 이를 거부할 경우 권한대행을 통해서라도 공천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긴급 간담회를 개최하고 "당 대표께서는 당이 비상사태고 총선을 앞둔 시급한 현안을 처리해야하기 때문에, 조속히 당 복귀해 최고위 소집하고 공관위 결정사항과 총선과 관련된 여러 사항을 처리해줄 것을 거듭 요청한다"고 밝혔습니다.
김무성 대표는 최고위 소집은 물론 권한대행도 불가하다는 입장인데,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김무성 대표의 당무거부를 당헌당규 상 '사고 등'에 해당해 원유철 원내대표를 권한대행으로 지정할 수 있다고 해석한 것에 대해서 "그 이야기는 해봐야 아무 의미가 없다. 권한대행은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옥새 투쟁' 정면 충돌 정당지지도
김무성 대표의 옥새투쟁으로 가장 애가 타는 것은 정종섭(대구 동구갑), 이재만(대구 동구을), 추경호(대구 달성군), 유재길(서울 은평을), 유영하(서울 송파을) 등 무공천 지역구 5곳의 진박-친박 예비후보들입니다. 후보등록 마감시한인 이날 오후 6시까지 공천갈등이 해결되지 않으면 선거 출마는 백지화되기 때문입니다.
무공천이 현실화되면 당장 대구지역에 친유승민계 의원들을 몰아내고 '진박' 인사들을 대거 당선시키려던 친박계의 구상이 깨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