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환 안지만 임창용 징계, 임창용 복귀, 야구선수 임창용 출장정지, 임창용 반시즌 정지, 임창용 72경기 출전정지, 임창용 중징계, 오승환 도박, 오승환 징계, 오승환 삼성 복귀, 오승환 삼성

 


해외원정 불법도박 혐의로 최근 70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은 임창용(나이 40세)과 오승환(나이 34세)의 KBO 징계가 확정되었습니다.

 

1월 8일 KBO(총재 구본능)는 8일 오전 야구회관 5층 회의실에서 상벌위원회를 개최하고 도박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임창용과 오승환에 대한 징계를 논의해 확정했으며, KBO는 "심의 결과 KBO 규약 제151조 3항에 의거 두 선수에게 KBO 리그 복귀 후 총 경기수의 50% 출장 정지의 제재를 부과했다"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소속팀 삼성에는 선수단 관리를 소홀히 한 책임을 물어 1000만원의 제재금을 부과했습니다.

 

두 선수는 최근 서울중앙지검으로부터 수사를 받았으며 벌금 700만원의 약식명령을 받았으며, 이에 KBO도 8일 상벌위원회를 열어 두 선수의 징계를 확정했습니다.

 

오승환은 현재 KBO 리그 소속 선수가 아니지만 추후 복귀 가능성을 고려해 같이 징계를 내렸다는 것이 KBO의 설명입니다.

 

'영구제명'과 같은 극단적인 징계는 피했지만 여론은 여전히 싸늘하며, 이는 각 구단들의 운신폭을 좁게 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구원왕에 오른 임창용의 경우는 여전히 KBO 리그에서 통할 만한 기량을 가지고 있어 각 구단들의 구미를 당기지만, 구단 이미지상 선뜻 나설 팀은 없을 것이라는 게 중론입니다.

 

영구제명과 같은 자격정지 중징계로는 이어지지 않아 해외에서 뛸 수 있는 길은 열려 있습니다. 출전 정지 처분은 KBO 리그 내에서만 유효하며, 이 또한 복귀 조건부입니다. KBO와 협정을 맺고 있는 미국이나 일본 팀과도 계약은 가능합니다.

 

때문에 임창용의 경우는 은퇴가 아닌 이상 현실적으로 해외진출을 추진할 것이 유력해 보입니다.

 

한편, 오승환의 경우는 이미 메이저리그 진출을 타진하고 있습니다. 사법적 처분이 크지는 않았던만큼 몸을 만들며 틈새시장을 찾는다는 전략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으로 돌아온다면 삼성으로 와야 하는데 삼성 또한 그런 부담을 안고 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로 역시 국내 복귀 가능성은 떨어집니다.

 

 

임창용 오승환 복귀시 해당 시즌 절반 출장정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