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역적(不可逆的)'이란 본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는 성격을 띤 것을 의미하는 말로 위안부 합의에서 일본은 불가역적이란 단어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위안부 합의에서 아베 신조 일본총리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이라는 조건을 강력하게 주장한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12월 29일 요미우리 신문은 아베 총리가 지난 24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을 총리관저로 불러 "한일 위안부 협상 합의에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이라는 문구가 포함되지 않는다면 교섭을 중단하라"고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 현지 복수 매체는 아베 총리가 "타협할 필요는 없다.'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이라는 문구를 절대적 조건으로 제시했다고 전했습니다. 반면, 한국이 설립한 재단에 낼 돈에 관해서는 20억엔을 내라는 한국의 요구 등을 고려해 애초 구상한 1억 엔보다 많은 10억엔(한화 약 97억1천170만원)으로 절충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대해서 한국 정부가 설립하는 재단에 일본측이 예산을 출연하는 것과 관련, 우리 정부는 일본측이 조치를 착실히 실시한다는 전제로 "이 문제가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될 것임을 확인한다"고 밝혔습니다.
'최종·불가역적 해결' 해석분분, 위안부 합의 "후폭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