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9일 국민권익위원회는 올해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교육부가 최하 등급 5등급을, 기재부·국방부·보건복지부·환경부·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공정거래위원회·대검찰청·국세청·법제처·기상청·문화재청·방위사업청 등 13곳이 4등급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공공기관 청렴도는 617개 기관에 대해서 직·간접적 업무 경험이 있는 국민들의 설문조사 응답과 부패 사건 발생 현황 점수를 종합해 도출했습니다. 권익위는 해당 기관의 민원인(외부 청렴도), 소속 직원(내부 청렴도), 관련 학계·시민단체(정책고객평가) 등 24만5000명을 대상으로 8월부터 지난달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했고, 이렇게 종합청렴도 점수를 10점 만점으로 산출해 높은 순서대로 1~5등급을 나누었습니다.
가장 높은 1등급에 속한 정부 부처는 새만금개발청(8.37점), 통계청(8.10점), 관세청(8.06점) 등 3곳에 불과했습니다.
다만 올해 공공기관 평균 종합청렴도는 10점 만점에 7.89점으로 지난해 대비 0.11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동서발전 등 공직 유관 단체의 종합청렴도(8.24점)가 가장 높았고 광역자치단체(7.22점)는 대상 기관군 중 최하위였습니다.
광역자치단체 중 1등급을 받은 곳은 없었다. 대전광역시(7.60점), 경상남도(7.59점), 부산광역시(7.59점), 충청북도(7.44점), 경기도(7.41점) 등이 2등급을 받으면서 상위권을 형성했습니다.
기초자치단체에서는 강원 속초시(8.37점), 경남 함안군(8.20점), 서울 종로구(8.41점)가 시·군·구에서 각각 최고 점수를 받았고, 교육청 중에서는 제주 교육청(7.84점)이 최고 점수 기관이었습니다.
2015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