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육룡이 나르샤 정도전 1차 왕자의 난 이성계, 이방원 왕자의난, 이방원 1차 왕자의 난 조준, 조선 1차 왕자의 난 요동정벌, 이성계 1차 왕자의난 정도전 요동정벌, 태종 이방원 왕자의난 명나라

네쥬s 2016. 3. 2. 12:33

* 제1차 왕자의 난 (무인정사, 이방석의난, 이방원의난, 정도전의난)

일명 '방원의 난' 또는 '무인정사(戊寅定社)', '정도전의 난'이라고도 하며, 왕위 계승을 둘러싼 왕자간의 싸움인 동시에 정도전 일당과 이방원 일당의 권력 다툼이기도 합니다.

 

조선 건국 이후 국가의 통치질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개국공신들의 지위가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1393년(태조 2)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의 설립을 계기로 정도전을 주축으로 추진된 병권집중운동과 중앙집권화정책은 권력구조면에 큰 변화를 가져 왔습니다.

 

개국공신 중 정도전의 지위가 크게 부상했지만, 여타의 훈신과 왕실세력 및 무장세력은 정치의 핵심에서 소외되기 시작하였고, 특히, 1398년 이후 이른바 '진법훈련(陣法訓鍊)'이 강화되자 왕자, 종친, 기타 훈신 및 무장들이 가지고 있던 사병에 대한 통수권이 해체될 단계에 이르러 양파의 대립은 극에 달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이방원과 정도전의 대립은 가장 첨예했습니다.

 

태조에게는 전 왕비 한씨 소생의 여섯 아들과 계비 강씨 소생의 두 아들이 있었습니다. 이방원은 한씨 소생의 다섯째 아들이었으며, 이방원은 개국에 가장 공이 크고 야심과 재질이 큰 인물이었던 만큼 유신 중심의 집권체제를 강화하려는 정도전 등의 견제를 받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이방원은 개국공신에도 책봉되지 못했고, 또한 세자 책봉 경쟁에서도 탈락했습니다.

 

 

정도전 밀본 1대 본원

 

 

태조 즉위 초 세자 책봉에서 태조는 계비 강씨의 뜻에 따라서 일곱째 아들 이방번을 세자로 삼으려 했으나 공신 배극렴, 조준 등은 이방번이 세자에 적당하지 않다며 이방원의 세자 책립을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태조는 결국 여덟째 아들 이방석을 세자로 책봉하고, 정도전이 세자 보도의 책임을 지게 하였습니다. 이에 한씨 소생의 왕자들, 특히 이방원과 그의 추종자들의 불만이 대단했고, 이방원은 권력구조의 핵심에서 차츰 밀려나며, 진법훈련이 강화되어 세력 기반의 마지막 보루인 사병마저 혁파될 위기에 놓였습니다.

 

이에 이방원은 정도전, 남은, 심효생(沈孝生) 등이 밀모해 태조의 병세가 위독하다며 왕자들을 궁중으로 불러들여 단번에 '한씨 소생의 왕자들을 살육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트집을 잡아 이것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명목으로 사병을 동원해 반대파를 제거하였습니다.

 

이방원은 이숙번 등의 사병을 동원하여 정도전과 남은, 심효생, 박위, 유만수, 장지화, 이근 등을 갑자기 습격하여 살해했고, 세자 이방석을 폐위하여 귀양 보내는 도중에 살해하고, 방석의 동복형 이방번도 함께 죽였습니다. 이렇게 이방원의 정적은 거의 제거되었고 정치 정세도 크게 바뀌었습니다.

 

 

독수: 바둑에서 자비 없는 치명적인 수

 

 

왕자 종친과 조준 등 일부 개국공신 및 이방원의 심복인 하륜, 이거이, 이무 등이 실권을 잡았습니다. 이들은 이방원을 세자로 책봉하려 했으나, 이방원 자신이 사양해 둘째 이방과가 세자로 책봉되었습니다. 하지만, 정치적 실권은 이방원 일당이 장악하였습니다.

 

이방과(정종)이 즉위하자 이방원 일당은 정사공신에 서훈되었고, 이방원은 정치적 실권을 장악해 병권 집중과 중앙집권체제의 강화를 위한 제도개혁을 추진하면서 세력 기반을 강화하였습니다. 이방원은 정도전에게 병권이 집중되는 것을 막으려고 그를 제거했지만 권력의 구심점이 자기에게 쏠리자, 이제는 자신의 세력 강화를 위해서 다른 사람들의 사병을 혁파할 필요가 생기게 된 것입니다.

 

한편, 제1차 왕자의 난은 국가의 통치질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왕권을 강화하려는 노력에서 빚어진 것이며, 이방원은 다시 '제2차 왕자의 난'을 성공으로 이끌었습니다. 이어 왕위에 올라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면서 통치질서를 확립하였습니다.

 

 

[육룡이 나르샤 44회] 정도전 요동정벌 동영상 (이방원 1차 왕자의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