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룡이 나르샤 이방원 하여가 동영상, 이방원 왕자의난, 이방원 가계도, 이방원 죽음, 이방원 정몽주, 이방원과 정몽주 선죽교, 이방원 정몽주 시, 이방원 포은, 이방원 조영규, 이방원 단심가
이방원(유아인)이 '육룡이 나르샤' 36회에서 정몽주(김의성)을 죽이고 정도전(김명민)과 대립을 시작하며 역사의 수순을 밟아 갔습니다.
2월 2일 방송된 SBS 월화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36회에서 이방원은 정몽주를 죽이고 정도전과 대립했습니다.
이방원은 부친 이성계(천호진)와 스승 정도전을 죽이려는 정몽주를 선죽교에서 살해했으며, 이방원은 "백성들에게 이런들 저런들 어떠하겠냐. 포은 선생이 사직을 지키든 삼봉 선생이 건국을 하든 백성들에게는 아무 상관이 없다. 그들은 그저 밥과 사는 기쁨이면 된다"고 '하여가'로 정몽주의 마음을 돌리려 했지만 정몽주는 '단심가'로 응수했습니다.
정몽주는 "이 몸을 죽여 일백번 고쳐 죽인들 이 마음속의 충은 가지지 못할 것이다. 아, 자네가 가질 것이 하나 있다. 천년의 악명. 정몽주라는 이름과 천년 얽혀 기록되고 회자될 것이다. 잘 감내해봐라"고 이방원을 저주한 끝에 조영규(민성욱)의 철퇴에 맞아 사망하며 선죽교의 비극이 재현되었습니다.
정도전은 "결국 포은은 내가 죽인 것이다. 나 때문에 죽은 것이다. 내가 유자로 남고 싶어 마지막 순간 포은선생에게 응석을 부렸다. 해서는 안 되는 짓이었다. 이제 내게 두 가지 길이 있다. 가혹하게 살든가 가혹하게 죽든가. 우리가 잃은 정당성은 우리가 만들 나라로 되찾는 수밖에 없다"고 자책하면서도 이성계를 움직였습니다.
이방원의 '하여가'와 정몽주의 '단심가'에 이은 선죽교 살인과 스승 정도전과 본격 대립을 시작하는 이방원의 모습까지, 역사적 기록을 그대로 따른 이날 방송의 전개는 충분히 예측가능했지만 그 자체로 흥미진진했습니다.
눈물로 정몽주를 설득하려다 실패 후 정몽주의 피를 뒤집어쓰고도 침착한 이방원, 또 정몽주 살인 후 손가락질 당하면서도 제 정당성을 굽히지 않고 오히려 스승 정도전의 의중을 꼬집으며 새로운 싸움을 시작하는 이방원의 모습은 유아인의 연기로 생생한 생명력을 얻어 눈을 떼지 못하게 했습니다. 역사가 스포일러였지만 유아인의 연기가 스포일러도 넘어섰습니다.
생생지락: 백성이 삶을 즐거워하는 것
정몽주의 죽음에 따른 정도전의 선 긋기는 이방원이 '왕자의 난'을 일으키게 하는 결정적인 요인입니다.
이방원은 앞으로 정도전의 조선건국 과정에 직접적인 참여를 포기하게 되고, 대신 자신의 세력을 키우며 야심을 키워나가며, 실제 역사에서 이방원은 조용히 세력을 키우다 세자 책봉문제를 꼬투리 잡고 왕자의 난을 일으킵니다. 이 과정에서 스승 정도전을 비롯해 많은 형제를 척살하고 대권을 잡게 되었습니다.
결국, 정도전은 이방원의 칼에 자신이 바랐던 신권주의 조선을 제대로 완성하지 못한 채 역사속으로 사라집니다.
한편, 1392년 건국된 조선은 6년 뒤인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을 겪는다. 3대 왕에 오른 태종의 가계도는 10명의 부인을 거느렸고, 12남 17녀를 두었습니다.